본문 바로가기

맥라이프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를 사용한 맥의 원격조정(3편, 최종회)


2편에 이어 수행된 작업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행결과 전달을 위한 일련의 작업들

사용될 서비스

IFTTT

사용될 앱

Keyboard Maestro for Mac
IFTTT for iOS

절차 및 방법

  1. IFTTT 사용자 등록을 합니다. 
  2. 2편 에서 작성된 Keyboard Maestro의 매크로를 수행하기 위한 IFTTT 레시피를 설정합니다.

IFTTT 사용자 등록

IFTTT는 If this then that의 약어입니다. 즉 this가 시행되면 that을 수행한다는 소위 자동으로 업무를 수행하게끔 만드는 사이트이며, 맥 수행 여부를 알수있도록 하기위한 레시피 작성을 위해 사용자등록이 필요합니다.

그런후에 아이폰용 IFTTT를 설치합니다.

IFTTT 레시피 생성

IFTTT에서는 각종 이벤트 생성을 레시피 등록이라고 명칭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Mac 수행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레시피 작성과정입니다.

  1. My Recipes > Create a Recipe 를 클릭하고, this 버튼을 클릭하여 수행해야 할 트리거에서 Email Trigger를 선택합니다.

  2. Send IFTTT any email 를 선택하고 Create Trigger를 선택합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trigger@ifttt.com으로 메일을 보내면 본 레시피를 수행한다는 의미이므로 메일주소를 Keyboard Maestro 이벤트 생성시에 보내는 주소로 활용합니다. 2편에서 사용된 받는 주소는 여기에서 알려준 메일주소입니다.


  3. that 트리거로 Launch Center Pro 를 선택합니다.

  4. Send a notification 을 선택하고, 적용 장치 및 사운드를 선택한 후 Create Action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마무리 합니다.

IFTTT 진행상황 확인

아이폰용 혹은 웹용 IFTTT를 통해서 어떤 레시피가 어떤 작업을 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Wrapping Up

지금껏 3편의 블로거를 통해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를 이용해서 Mac을 제어하는 방법을 확인하였습니다. 지금까지의 과정을 다시금 정리해보면,

  1.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를 통해 클라우드에 Mac이 수행할 업무내용을 저장합니다.
  2. Mac은 수행업무를 읽고(Hazel), 업무내용에 합당하는 매크로를 수행(Keyboard Maestro)합니다.
  3. 수행된 업무에 대해 다시금 사용자에게 알려줍니다.( IFTTT -> Launch Center Pro)

과 같이 요약됩니다. Keyboard Maestro 의 자체수행가능 매크로를 확인해보면 원격제어할 수 있는 부분이 아직도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각자 자신의 형편에 맞는 매크로를 이용하여 더 나은 원격조정 루틴을 만들어 보는것도 본 리뷰를 통한 긍정적인 효과일 것으로 여겨집니다.


참고글

관련글